본문 바로가기
금융

K 패스 vs 기후 동행 카드 직장인에게 유리한 교통 할인카드는

by 토끼와달팽이 2025. 3. 12.
반응형

K 패스 vs 기후 동행 카드 직장인에게 유리한 교통 할인카드는

K 패스와 기후 동행 카드, 어떤 카드가 대중교통비 절감에 더 유리할까요? 이용 횟수와 환급률을 비교해 최적의 선택을 도와드립니다.

 

K 패스 vs 기후 동행 카드 직장인에게 유리한 교통 할인카드는

 

K 패스와 기후 동행 카드 비교, 대중교통비 절감하려면?

최근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나오면서, 많은 직장인들이 K 패스와 기후 동행 카드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한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에서 출퇴근하는 경우, 하루 이용 횟수와 월별 사용량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 패스와 기후 동행 카드의 혜택 비교 및 최적의 활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K 패스란?

K 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전월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교통 할인 카드입니다.

✅ 지원 대상: 전국 대중교통 이용자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A 등)
✅ 적립 한도: 월 60회 (2024년부터 일일 최대 2회 적립 제한)

 

✅ 환급 비율

- 일반인: 20%
- 청년층(만 19~34세): 30%
- 저소득층: 53%


✅ 환급 방식

- 신용카드: 다음 달 카드 결제 금액에서 차감
- 체크카드: 연결된 계좌로 환급

 

✅  2024년 변경 사항

- 기존에는 하루 이용 횟수 제한이 없었으나, 2024년부터는 일 2회까지만 적립 가능
- 월 60회 한도 내에서 이용 금액이 높은 순서대로 적립
즉, 하루에 여러 번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직장인들에게는 혜택이 줄어든 반면, 출퇴근만 하는 직장인들에게는 기존 혜택과 차이가 없습니다.

 

기후 동행 카드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정액제 교통카드로, 월 6만 2천 원(청년층 5만 5천 원)에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대상: 서울시 거주자 및 서울 대중교통 이용자

 

✅ 사용 가능 범위

- 서울 시내버스, 마을버스, 서울 지하철 (1~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 GTX, 광역버스, 코레일, 공항철도 제외


✅ 요금제

- 청년층(만 19~34세): 월 5만 5천 원
- 일반 성인(만 35세 이상): 월 6만 2천 원

 

✅ 기후 동행 카드 이용시 주의할 점

- 서울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 (경기도 및 인천 출퇴근자는 이용 불가)
- 정기권 형태로 구매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더라도 환불 불가

 

K 패스 vs 기후 동행 카드,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

K 패스 vs 기후 동행 카드 직장인에게 유리한 교통 할인카드는


✅ 서울에서만 출퇴근하는 경우
- 하루 2회 출퇴근만 한다면? → K 패스 추천
- 하루 3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 기후 동행 카드 추천

▶ 출퇴근만 한다면 K 패스의 20~30% 환급 혜택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하루 3회 이상 이용하면 기후 동행 카드가 비용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 서울이 아닌 수도권(경기도, 인천)에서 출퇴근하는 경우
- 광역버스, GTX를 이용한다면? → K 패스 필수
- 서울 시내 출퇴근용으로만 사용한다면? → 기후 동행 카드 고려 가능

▶ 기후 동행 카드는 서울 시내에서만 이용 가능하므로, 수도권에서 광역버스나 GTX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K 패스가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 자녀가 있는 직장인이라면?
- 35세 이상, 자녀 2명 이상(1명은 18세 이하) → K 패스 30% 환급 가능
- 35세 이상, 자녀 3명 이상(1명은 18세 이하) → K 패스 50% 환급 가능

▶ 자녀가 2명 이상이라면 K 패스 환급률이 30~50%로 증가하므로, 기후 동행 카드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나에게 맞는 교통카드는?

✅ 기후 동행 카드가 유리한 경우

- 하루 3회 이상 서울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 서울 시내에서만 이동하는 경우

 

✅ K 패스가 유리한 경우

- 하루 2회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출퇴근)
- 수도권 거주자(광역버스, GTX 이용자)
- 자녀가 2명 이상 있는 35세 이상 직장인 (최대 50% 환급)

 

K 패스 vs 기후 동행 카드 직장인에게 유리한 교통 할인카드는

 

그렇다면 나에게 맞는 교통카드는 무엇일까요? 출퇴근만 한다면 K 패스, 서울에서 많이 돌아다닌다면 기후 동행 카드로 수도권 출퇴근자는 무조건 K 패스가 유리합니다. 위의 금을 참고로 각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최적의 교통카드를 선택해 교통비를 절약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