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금리 하락 3%대 저축은행 예금 이제 찾기 어려울까?
최근 저축은행 예금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3%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OK저축은행, SBI저축은행을 비롯한 주요 저축 은행과 시중은행들도 금리를 내리고 있는데요. 예금 금리 하락의 원인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현명한 재테크 전략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예금 금리, 점점 낮아지는 이유는?
한때 3%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며 예·적금 투자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저축은행 예금 금리가 최근 빠르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이 금리를 낮춘 데 이어 저축은행도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속속 금리를 내리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현재 예금 금리는 얼마나 내려갔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저축은행 예금 금리 변동 현황
최근 주요 저축은행들은 앞다투어 예금 금리를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1. OK저축은행 : OK파킹플렉스통장
- 기존 연 3.0% → 2.8% (2025년 2월 24일부터 적용)
2. SBI저축은행 : 사이다입출금통장
- 기존 연 2.7% → 2.5%
3. 신한저축은행 : 참신한 파킹통장
- 기존 연 3.1% → 3.0%
이외에도 JT저축은행, IBK저축은행 등 많은 저축은행이 예금 금리를 인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기예금 금리도 2%대 후반까지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 6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 : 2.83% (작년 말 대비 0.18% 하락)
-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 : 3.09%
과거와 달리 저축은행에서도 3%대 예금 상품을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예금 금리 하락, 왜 이렇게 빠를까?
그렇다면 왜 저축은행 예금 금리가 이렇게 빠르게 낮아지는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때문입니다.
1. 기준금리란?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장의 돈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장 중요한 금리입니다.
-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장 금리도 오르고,
- 기준금리가 내리면 시장 금리도 내려갑니다.
2.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 은행들은 한국은행에서 더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 고객들에게 높은 금리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짐
- 결과적으로 예금 금리가 선제적으로 하락
즉, 앞으로 돈이 더 싸질 것이므로 미리 예금 금리를 내려도 된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은행이 실제로 금리를 내리기 전부터, 시중은행과 저축은행들이 먼저 예금 금리를 낮추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중은행도 예금 금리 하락 중
저축은행뿐만 아니라 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 등 주요 4대 시중은행도 예금 금리를 속속 낮추고 있는 상황입니다.
1. SC제일은행 : 퍼스트정기예금
- 기존 연 2.45% → 2.30%
2. 하나은행
- 주요 정기예금 상품 기본 금리 0.20%p 인하
3. 국민은행·신한은행
- 예·적금 금리 최대 0.3%p 인하
4. 카카오뱅크·케이뱅크
- 기존 연 3.1% → 2.9%
📉 시중은행 예금 금리도 3% 이하로 내려가면서, 앞으로 3%대 예금 상품을 찾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금 금리는 빠르게 떨어지는데, 왜 대출 금리는 그대로일까?
예금 금리는 이렇게 빠르게 떨어지는데, 대출 금리는 왜 느리게 내려갈까요?
은행의 입장에서 보면,
- 예금 금리를 낮추면 이자 비용이 줄어들어 수익성이 개선됨
- 대출 금리를 유지하면 이익이 극대화됨
이러한 이유로 예금 금리는 선제적으로 내리지만, 대출 금리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조정됩니다. 이 때문에 은행이 고객 이익보다 수익성만 신경 쓴다는 불만이 나오는 것이죠.
예금 금리가 낮아지면 돈은 어디로 갈까?
금리 메리트가 사라지면서, 예·적금에 있던 돈이 다른 투자처로 이동하는 ‘머니무브(Money Move)’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1. 금 & 은 투자 증가
-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금값 상승
- 최근 금값 강세 지속
2. 달러 예금 증가
- 5대 시중은행 달러 예금 잔액 97조 7,800억 원 기록
- 원화 가치 하락에 대비한 자산 배분 증가
3. ETF·채권·부동산 투자 확대
- 채권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채권 투자 증가
- 부동산 시장에도 다시 자금 유입
📉 예금 금리가 낮아질수록,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금융상품을 찾아 나서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대응 전략
앞으로도 예금 금리가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재테크 전략을 다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예·적금 외에도 다양한 금융상품 검토
- 금리 하락기에 대비해 국채·회사채·ETF 등의 금융상품 활용
2. 달러 예금, 금 투자 등 안전자산 검토
- 원화 가치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에 분산 투자 전략 고려
3. 대출이 있는 경우, 금리 인하 시점 체크
- 대출 금리는 늦게 조정되므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한 대출 전략 필요
글을 마치며
✔️ SBI저축은행, OK저축은행을 포함한 주요 저축은행의 예금 금리가 계속 하락
✔️ 시중은행도 예금 금리를 속속 인하하며 3%대 예금 상품이 점점 사라지는 중
✔️ 머니무브 현상이 심화되며, 금·달러·ETF 등으로 투자금 이동 중
지금은 단순히 예·적금만 가입하기보다, 더 나은 재테크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금융시장 변화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면서, 내게 맞는 최적의 투자 방안을 찾아보세요! 이상, 잇다른 은행들의 예금 금리 하락과 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함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금 시세 사상 최고치! 금값 상승 원인과 투자 전망 (1) | 2025.03.04 |
---|---|
예금자 보호 1억 시행! 2025년부터 달라지는 금융 제도 완벽 정리 (0) | 2025.03.04 |
SBI 저축 은행 대출과 예금 금리 변화, 현명한 재테크 전략은? (0) | 2025.03.04 |
부산 지역 화폐 동백 전 사용 방법 및 캐시백 혜택 (0) | 2025.03.03 |
2025년 최저 시급 10,030원 연봉과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0) | 2025.03.03 |
댓글